-
우리 학교가 타슈켄트 아주대(Ajou University in Tashkent, AUT)의 건설전문인재 양성을 위해 HJ중공업과 협약식을 체결했다. 아주대는 13일 율곡관에서 '아주대학교‧HJ중공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행사에는 아주대 최기주 총장, HJ중공업 건설부문 홍문기 대표가 자리했다. 우리 학교 김경래 교무부총장, 한호 AUT사업단장, 손정훈 교무혁신처장, 조경숙 대학발전본부장과 HJ중공업 김용운 상무, 주휘중 상무, 김선엽 부장도 함께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아주대와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협약에 따라 우즈베키스탄에 개교한 AUT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건설·토목 분야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협약 주요 내용은 ▲인턴십‧취업 프로그램 운영 ▲공동연구 실시 ▲산학협력 플랫폼 구축 ▲최신 기술 및 정보 교류 촉진을 위한 공동 네트워크 구축 ▲추가 협력 방안 모색 등이다. 협약에 따라 HJ중공업은 향후 AUT 건설시스템공학과(Civil and Construction Engineering Department)와 건축학과(Architecture Department) 학생들을 위해 인턴십‧취업 프로그램을 개설·운영해 나갈 예정이다. 아주대 최기주 총장은 "HJ중공업이 50여년간 축적해온 건설 기술력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우즈베키스탄 청년들과 상생 협력의 길을 열어가길 기대한다"라며 "아주대도 원활한 산학협력 구축을 위해 최선의 지원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아주대가 2021년 2월 우즈베키스탄에 개교한 타슈켄트 아주(Ajou University in Tashkent, AUT)는 아주대 학위과정과 AUT 학위과정을 함께 운영 중이다. 현재 전자공학과(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건설시스템공학과(Civil Systems Engineering), 건축학과(Architecture) 3개 학과를 아주대 학사학위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 과정으로 AUT를 졸업한 학생들은 아주대 졸업장을 받는다. AUT 학사학위과정에는 한국어·경영학과(Korean Philology & Management Department), 영어·경영학과(English Philology & Management Department), IT-비즈니스학과(IT-Business Department) 3개 학과가 운영 중이다. 내년 6월 첫 졸업생 배출을 앞둔 AUT에는 총 1516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 왼쪽부터 HJ중공업 건설부문 홍문기 대표, 아주대 최기주 총장
-
3279
- 작성자조혜윤
- 작성일2023-12-15
- 1788
- 동영상동영상
-
아주대가 대학·기업·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산학연 교류의 장을 10회째 마련했다.우리 학교가 지난 11일부터 12일까지 아주대 연암관에서 ‘2023 아주 테크-버스 페스타(AJOU Tech-Verse Festa)’를 개최했다. ‘아주 테크-버스(AJOU Tech-Verse)’는 아주대가 지향하는 미래산업 창출 산학연 협력 생태계를 의미한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최하고 아주대 LINC 3.0 사업단·창업지원단이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올 한 해 동안 아주 테크-버스를 통해 발굴된 산학연 우수 사업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2014년부터 개최한 행사는 올해로 10회째를 맞이했다. 행사에는 지자체, 산학연 유관기관, 가족회사, 대학, 공공기관 등 산학연 관계자를 비롯해 지역주민 및 대학 구성원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여했으며 현장 방문자 수는 총 501명에 달했다. 현장에서는 사업 성과 전시를 비롯해 ▲상담부스(사전 신청자 대상) ▲좋아요 이벤트(온라인 동시 진행) ▲스탬프 투어 ▲링크네컷 포토부스 등 다양한 이벤트도 마련됐다. 시공간 제약 없는 온라인 전시관(lincfesta.ajou.ac.kr)은 상시 관람 가능하다. 행사 첫날인 11일에는 ▲산학연 연계 교육 성과 ▲기업협업센터(ICC) 성과 ▲우수 가족회사 소개 ▲공유·협업 성과 등 다양한 산학연 협력 프로그램 전시가 열렸다. 현장 상담 부스에서는 사전 신청자를 대상으로 표준현장실습, 창업, 기업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1:1 상담이 진행됐다. 이어 12일에는 캡스톤 디자인 경진대회 최종발표회와 다양한 시상식이 준비됐다. 2023년 한 해 아주대 산학연협력 성과를 총망라해 시상하는 ▲커넥팅 스타(Connecting Star) 성과발표회와 산학연 협력에 힘쓴 협력기관, 가족회사, 대학 구성원을 시상하는 ▲2023 아주 테크-버스 어워즈(AJOU Tech-Verse Awards), 현장실습·Dynamic-PBL·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 등 다양한 대회에서 우수 성과를 낸 학생을 시상하는 ▲우수학생 시상식이 연암관 로비에서 진행됐다.김상인 산학협력단장 겸 LINC 3.0 사업단장은 "올 한 해는 아주대 학생 창업 기업들이 대회 수상, 투자 유치 등 굵직한 성과를 냈던 한 해 였다”며 "이러한 성과들을 공유하는 자리인 아주 테크-버스 페스타에 찾아주신 관계자, 산학연 교류에 관심 있는 많은 분들께 감사드린다”고 전했다.한편 2022년 4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산학연 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3.0)’에 선정된 아주대는 산학연이 경계없이 협력하고 상생하는 ‘미래산업 창출 산학연 상생 생태계 아주 테크-버스(AJOU Tech-Verse) 구현’을 위해 ▲산학연 연계 교육과정 혁신 ▲신산업 기반 융복합 교육과정 운영 ▲특화 분야 기업협업센터(ICC)를 통한 브랜드 창출 ▲공유 협업 플랫폼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다. △ 개회사하는 김상인 산학협력단장 겸 LINC 3.0 사업단장△ 환영사하는 김경래 교무부총장△ 인사말 전하는 허준석 창의산학교육원장△ 2023 아주 테크-버스 페스타 우수학생부문 수상자 단체사진<주요부문 수상자 명단>1부 / AJOU Tech-Verse Awards<산학연협력 우수 협력기관>▲수원시 청년청소년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 ▲한국생산성본부(KPC)<산학연협력 우수 가족회사>▲엠케이피 주식회사 ▲(재)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이지일렉트릭 ▲㈜픽셀로 ▲코스모스웨일 ▲와이아이케이<산학연협력 우수 교원>▲윤창근(행정학과) ▲이환용(소프트웨어학과) ▲차희성(건축학과) ▲김욱(분자과학기술학과) ▲윤종희(물리학과) ▲이상운(물리학과) ▲김남헌(전자공학과)<산학연협력 우수 직원>▲고아라(SW산학협력센터) ▲김홍모(공동기기센터) ▲최민희(교무팀)<산학연협력 유공 부서>▲소프트웨어융합대학 교학팀 ▲공동기기센터 ▲학술정보팀 ▲교수학습개발센터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2부 / 산학연협력 우수학생 시상<제1회 Dynamic-PBL 교과목 학생 수기 공모전>▲대상 - 조민지(국어국문학과) ▲최우수상 - 강희진(디지털미디어학과) ▲우수상 - 김선빈(문화콘텐츠학과) ▲장려상 - 김종훈(경영학과) · 김도형(첨단신소재공학과)<IC-PBL 글로벌 오픈배지 디자인 공모전>▲대상 - 허연수(금융공학과) ▲최우수상 - 문수호(e-비즈니스학과)<2023 AJOU-Good 데모데이>▲대상 - Crewvation ▲최우수상 - Digging Club Ajou · 일로 ▲우수상 - CLEARTH · Careminder · STEWARDING ▲장려상 - O_D · Playmakers · eLoam · 넛지 · 말랑트립<제19회 현장실습 수기·영상 공모전>- 수기부문▲대상 - 김소민(교통시스템공학과) ▲최우수상 - 김노아(기계공학과) · 임수아(응용화학생명공학과) ▲우수상 - 김경민(전자공학과) · 김다현(영어영문학과) · 김지민(불어불문학과)▲장려상 - 이형기(e-비즈니스학과) · 서경덕(기계공학과) · 최강준(응용화학생명공학과) · 이성현(건설시스템공학과)- 영상부문▲대상 - 박지원(문화콘텐츠학과) ▲최우수상 - 고유진(사회학과) ▲우수상 - 김은비(영어영문학과) · 공현준(전자공학과) ▲장려상 - 이서형(디지털미디어학과) · 전은준(e-비즈니스학과) · 김소민(교통시스템공학과)<제17회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대상 - nature ▲최우수상 – MSB ▲우수상 - 아저씨들의우정은디질때까지 · 6 SIGMA · 새빛마루 · 겜돌이 ▲장려상 - 저마늄 · 건종설 5조 · 일석이조 · 동네사람들 · 힘을내요슈퍼파월 · 토익 파이팅
-
3277
- 작성자조혜윤
- 작성일2023-12-15
- 1883
- 동영상동영상
-
-
3275
- 작성자조혜윤
- 작성일2023-12-15
- 2397
- 동영상동영상
-
-
3273
- 작성자김민희
- 작성일2023-12-14
- 2353
- 동영상동영상
-
올 2학기 ‘파란학기제’ 여정이 총 42개팀, 186명의 학생들이 참가한 가운데 마무리됐다. 우리 학교가 지난 2016년 도입한 ‘파란학기제-아주 도전학기 프로그램’은 학생 스스로 제안한 도전과제를 수행하고 학점까지 받을 수 있는 제도다.2023학년도 2학기 파란학기제 성과발표회는 지난 7일 율곡관 로비 및 영상회의실에서 개최됐다. 파란학기에 참여했던 학생들이 한 학기 동안의 활동을 공유하고 서로를 격려하는 자리로 마련됐다.이번 파란학기에는 총 42개팀, 186명의 학생들이 참가했다. 학생들은 율곡관 로비에 마련된 전시부스에서 자신들이 도전과제를 선보였다. 율곡관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시상식에는 총장, 지도교수, 학생 등 아주 구성원이 함께 했다.지난 학기 파란학기에 참여했던 은재준 학생이 시상식 사회를 맡았고 ▲김민규 교무혁신처 부처장 인사말 ▲최기주 총장의 인사말과 시상이 이어졌다.‘훌륭한 뱃사공상’의 영예는 MELT(Mobility Extreme Life-protection Tactics)팀에게 돌아갔다. 이 팀은 퍼스널 모빌리티(PM)의 안전 장비 미착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탑승자 안전사고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헬멧 구조(서스펜션) 설계와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훌륭한 뱃사공상은 예상치 못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자기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파란학기제 도전과제를 완성한 팀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부상으로는 상금 100만원이 주어졌다.‘황금실패상’은 결식아동들을 위한 기프티콘 기부 플랫폼을 개발한 에이틴팀이, ‘Zero to One상’은 로컬매거진 제작 프로젝트를 진행한 동네살이 팀이 받았다.그 밖에도 ▲내일의 주인공상 - Triphos(가상 스크리닝을 통해 Undruggable Target의 한계를 극복하는 저분자 발굴) ▲터닝포인트상 - Second Vision(파킨슨∙루게릭병 환자向 AEye Mouse(feat. Al마우스)) ▲파일럿상 - 메로나(식품 알레르기 관리를 위한 식당 안내 서비스 – Alledin) ▲이노베이터상 - 유레카(시각장애인을 위한 물품 인식 제어장치의 설계와 제어 방법에 관한 연구) ▲시선집중상 - EastLander(한국과 동양 관계사료집 제작 프로젝트), DOKUmentary(아주대학교 도구박물관 30주년 개관 기념 다큐멘터리 제작)가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파란학기제-아주 도전학기 프로그램’은 스스로 제안한 도전 과제를 수행하고 학점까지 받을 수 있는 제도로 우리 학교가 지난 2016년 도입했다. 학교의 상징색인 파란(아주블루)색에서 따온 이름으로 알(자신의 틀)을 깬다라는 ‘파란(破卵)’과 이런 시도를 통해 사회에 신선한 ‘파란(波瀾)’을 일으키자는 뜻도 담았다.파란학기제는 학생이 스스로 제안하는 학생설계 프로그램이 중심이 되며 이를 성실히 잘 수행한 경우 재학 중 18학점 이내에서 정규 학점을 받게 된다. 학생들은 인문, 문화·예술, 봉사, 국제화, 산학협력 등 모든 분야에서 제한 없이 도전과제를 설계할 수 있고 학교나 교수, 기업이 제안한 프로그램을 택하거나 이를 수정해 신청할 수도 있다. 교내 외국인 유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파란학기 글로벌’과 도전과제 영역을 사회 문제 해결까지 확장한 ‘파란학기-Extreme‘ 유형에도 참여할 수 있다. 파란학기제에는 지난 2016년 1학기부터 2023년 2학기까지 16학기 동안 총 461개팀, 1809명의 학생들이 참여했다. 성과발표회에서 서로의 도전과제를 공유하는 학생들의 모습영예의 훌륭한 뱃사공상을 받은 MELT팀과 최기주 총장# 파란학기제 성과물 온라인 전시 바로가기
-
3271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3-12-14
- 2729
- 동영상동영상
-
-
3269
- 작성자김민희
- 작성일2023-12-13
- 3224
- 동영상동영상
-
-
3267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3-12-12
- 3584
- 동영상동영상
-
-
3265
- 작성자김민희
- 작성일2023-12-12
- 2859
- 동영상동영상
-
아주대 연구진이 인체의 각 조직에 존재하는 내인성 줄기세포를 상처 질환 부위로 유도해 상처를 치료할 수 있는 드레싱제를 개발했다.김문석 교수(응용화학생명공학과·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 연구팀은 세포의 주화성 이동 사이토카인 유사체(stromal derived factor-1 mimic peptide, SMP)를 유인 물질로 사용해 내인성 줄기세포의 이동을 촉진, 상처를 치료할 수 있는 드레싱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해당 내용은 ‘SDF-1-모방 펩타이드를 함유한 클릭 가교 히알루론산 지지체에 의한 상처 치유(In-situ wound healing by SDF-1-mimic peptide-loaded click crosslinked hyaluronic acid scaffold)’라는 논문으로 약물 전달 분야 국제 저널인 <저널 오브 컨트롤드 릴리즈(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11월 온라인판에 게재됐다.이번 연구에는 아주대 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 석사과정의 김영훈 학생이 제1저자로 참여했고, 최학수 미국 하버드대학 교수(의과대학)와 아주대 김은하(응용화학생명공학과·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최상돈(생명과학과 ·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 교수 및 고려대 박용두 교수(의과대학 의공학교실)가 공동연구를 수행했다. 약물 전달 및 의료용 소재 개발 기업으로 난치성 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메디폴리머도 연구에 함께 참여했다.줄기세포(stem cell)는 인체를 구성하는 세포와 조직의 근간이 되는 세포 유형으로, 반복적으로 분열하여 재생산(자기 복제)하거나 특수화된 세포 유형으로 분화할 수 있는 놀라운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에 기존의 약물과 수술 등의 방법으로는 치료가 어려웠던 여러 질병의 치료와 손상된 조직에 대한 재생 치료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줄기세포를 이용한 질환 치료는 엄격한 장치 공정에서의 배양 과정이 필요하여, 실제 환자에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높은 비용이 요구된다. 또 질환 치료를 위해서는 다량의 줄기세포가 필요하므로, 배양을 위해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다른 사람의 줄기세포를 채취해 외부 환경에서 배양하여 환자에게 적용하기 때문에, 타인의 세포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심리적 거부감이 존재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이기도 하다.이에 공동 연구팀은 인체에 본래 존재하는 내인성 줄기세포에 주목했다. 내인성 줄기세포는 우리 몸의 각 장기 또는 조직에 이미 존재한다. 우리 몸에서 각 장기 또는 조직에 손상이 발생하면, 손상된 부위에서 발현하는 SDF-1 단백질 또는 substance P 펩타이드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생리 인자(사이토카인 등 활성인자)를 인식하여, 손상된 장기나 조직으로 이동시키고 손상된 부위를 치료하는 역할을 이미 내인성 줄기세포가 수행하고 있다. 내인성 줄기세포는 이미 우리 몸에 존재하므로 외부 배양 과정이 필요 없고, 또한 내인성 줄기세포를 질병 및 손상된 조직의 치료에 활용하면 본인 또는 타인의 줄기세포를 외부 배양하는 기존 치료법의 높은 비용과 심리적 거부감 등 여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SDF-1 단백질은 비용이 높고 사용 안정성 등에 문제가 존재하기에, 공동 연구팀은 아주대 최상돈 교수·고려대 박용두 교수팀에서 발굴한 SDF-1-모방 펩타이드가 내인성 줄기세포를 특정 질환 부위로 이동시킨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에 SDF-1-모방 펩타이드 물질을 함유한 드레싱 제형을 제작하고, 손상된 창상에 적용하여 창상의 치료 효과를 검증했다. 연구팀은 드레싱 제형의 제작에 히알루론산 소재를 활용했다. 히알루론산 소재는 생체 조직의 구성 성분 중의 하나로 생체적합성이 매우 우수하다. 연구팀은 SDF-1 모방 펩타이드 물질을 함유한 히알루론산 드레싱 제형을 완성하고, 이를 진피 부분까지 손상된 창상에 부착했다. 그리고 이 드레싱에서 SDF-1 모방 펩타이드가 창상으로 생성된 생리 물질에 의해서 내인성 줄기세포를 창상으로 이동시킴을 확인했다. 더불어 드레싱의 SDF-1 모방 펩타이드 물질이 기존 물질(SDF-1) 대비 2~3배 많은 양의 내인성 줄기세포를 이동시킴을 확인했다. 또 이동된 내인성 줄기세포가 손상된 피부 표피뿐이 아니라 진피까지 완벽하게 치료하여, 치료 효능이 우수함을 증명했다.김문석 교수는 “인체 내 각 장기에 이미 존재하는 내인성 줄기세포를 활용해 창상 재생용 드레싱뿐 아니라, 뼈와 연골 질환 등의 치료 재생을 위한 주사제형으로 연구를 확장해 진행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김 교수는 이어 “내인성 줄기세포를 활용한 연구를 통해 기존에 활용되던 약물 및 수술, 그리고 높은 비용과 까다로운 과정이 수반되는 줄기세포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많은 질병 치료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미래소재디스커버리 및 대학중점연구소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 위 그림 설명 - 공동 연구팀은 SDF-1-모방 펩타이드 물질을 함유한 드레싱 제형을 제작하고, 손상된 창상에 적용하여 창상의 치료 효과를 검증했다.
-
3263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3-12-12
- 2347
- 동영상동영상
-
우리 학교 안영환 교수(물리학과∙대학원 에너지시스템학과) 연구팀이 그래핀 산화물의 유전상수 조작을 통해 신개념의 스텔스 물질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연구 내용은 <산화 그래핀을 이용한 테라헤르츠파 엡실론-근사-제로 플랫폼(Graphene Oxides as Epsilon-Near-Zero Platforms Operating in Terahertz Frequency Range)>이라는 제목으로, 광학 분야 저명 학술지인 <레이져 & 포토닉스 리뷰(Laser & Photonics Reviews)> 11월호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지원사업과 중점연구소 사업(자율형)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우리 학교 에너지시스템학과 박사과정의 전승원 학생, 기초과학연구소의 임종혁 박사, 물리학과의 박지용∙이순일 교수가 공동저자로 참여했다.연구팀의 이번 개발은 그래핀 산화물의 독특한 특성에 기인한다. 열처리 과정을 거치면, 그래핀 산화 물질은 특정 주파수 영역에서 엡실론-근접-제로(Epsilon-near-zero; ENZ) 특성을 나타낸다. 엡실론-근접-제로 물질은 유전율(엡실론)이 0에 근접하는 인공 물질로, 얇은 박막에 전자파의 강한 집속이 가능해 다양한 첨단 광소자의 구현이 가능하다.ENZ 박막은 전자파의 효과적인 흡수를 가능하게 하여, 반사파를 크게 줄이는 '초흡수체' 제작에 기여한다. 이에 미래의 스텔스 기술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스텔스 기술은 육안, 레이더와 음향 등으로부터의 탐지를 어렵게 하는 은폐 기술을 말하며, 전투기와 함정, 전차와 장갑차뿐 아니라 병사의 전투복에까지 활용되고 있다. 스텔스 분야의 응용 외에도, 전통적인 회절 한계를 넘어선 초고해상도 테라헤르츠파(T-레이) 이미징 기술에 적용이 가능해, 의료 진단 및 보안 스캐닝 분야에서 더 세밀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특히, ENZ 플랫폼과 메타패턴의 결합을 통해 낮은 굴절률을 가진 미생물을 감지하는 데에도 유용함을 확인했다. 다양한 유해물질 감지 센서의 정확도와 민감도를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안영환 교수는 “기존 ENZ 박막이 복잡한 금속패턴을 필요로 하는 반면, 이번에 개발된 물질은 자체적으로 ENZ 특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매우 독창적인 연구성과”라며 “ENZ 박막을 원하는 표면에 갖다 붙이거나 다른 광구조와 결합된 하이브리드 소자를 제조하는 등, 기존에 불가능했던 다양한 응용분야가 창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위 그림설명 - (위)산화 그래핀의 유전상수 조작을 통해 엡실론-근접-제로(ENZ) 물질을 제조하는 원리와 (아래)비행체 모형에 대한 ENZ 박막의 스텔스 구현 실험결과
-
3261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3-12-08
- 3162
- 동영상동영상
-
우리 학교 기계공학과 한승용∙강대식∙고제성 교수 연구팀이 구김과 펼침을 반복해도 주름이 잡히지 않는 새로운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발했다. 형상기억폴리머 소재를 활용한 것으로, 연구팀은 번데기 안에 날개를 구긴 상태로 존재하는 나비에서 영감을 얻었다.아주대 기계공학과 연구팀은 이번 연구 성과를 ‘형상 변형에 기반한 구겨져도 복구가능한 전자장치(Crumple-Recoverable Electronics based on Plastic to Elastic Deformation Transitions)’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12월6일자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에 발표했다. 기계공학과 자연모사실험실의 한승용 교수, 강대식 교수, 고제성 교수가 공동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우리 학교 노연욱 박사와 이승곤 석사졸업생(현 삼성전자)은 공동 제1저자로 함께 했다. 기계공학과 연구팀은 형상기억폴리머 소재를 활용해 자유롭게 형태를 변형할 수 있으면서, 접힌 부분의 구겨진 구름을 스스로 펼 수 있는 전자 장치를 개발했다. 형상기억폴리머는 폴리우레탄 계열의 폴리머로써 변형을 해도 유리전이온도 이상에서 본래 형상으로 돌아가는 스마트 소재다.최근 접을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반 전자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다. 그러나 반복해서 접고 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름이 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화면 왜곡과 같은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앞선 연구들에서 유연한 재료를 이용해 주름 문제를 해결하려 시도했지만, 이러한 재료의 경우 높은 마찰력, 형태 유지의 어려움, 낮은 내구성 등으로 인해 실제 적용에 한계가 많았다. 아주대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비 날개의 메커니즘에 착안, 부드러움과 딱딱함을 약 700배까지 조절할 수 있는 형상기억폴리머를 활용해 전자장치를 제작했다. 이 장치는 엘라스토머(고무와 같은 특성을 가진 폴리머 재료로 큰 변형을 겪어도 원래의 형태로 돌아갈 수 있는 높은 탄성을 지님)층을 결합해, 회복 불가능한 소성 변형을 방지하는 완충 기능을 갖추고 있다. 소성 변형이란 ‘주름’과 같이 물질이 접힘으로 인해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오지 못할 정도로 변형된 상태를 말한다.이번에 개발한 전자 장치는 작은 알약에 압축해 보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강성을 유지하지만 꺼내서 열을 가하면 형상기억폴리머의 강성이 순간적으로 낮아져 주름이 사라진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전극이 재연결되어, 구겨지기 전과 같은 터치 패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승용 교수는 “나비는 우화가 시작되기 전, 날개 크기에 비해 협소한 번데기 안에 날개를 구긴 상태로 존재한다”며 “나비는 이 주름을 무리 없이 완벽하게 펼쳐내는데, 이는 체액이 마르면서 주름이 펴지고, 날개의 강성이 증가하는 고유한 메커니즘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나비의 우화 과정에서 영감을 얻었는데, 우화란 번데기에서 허물을 벗고 나비가 되는 과정을 말한다. 연구팀의 전자 복합체는 구겨졌을 때 강성이 급격히 낮아져 주름을 펼 수 있고, 사용 중에는 강성이 높아져 사용자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다.한 교수는 이어 “이번 연구 성과로 전자 장치의 휴대성이 크게 높아지고, 장기적으로는 전자 폐기물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며 “앞으로 폴리머 기반 발광층(PLED)과 결합되어, 새로운 사용자 맞춤형 디스플레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신진연구 및 중견연구 지원사업으로 수행됐다.나비의 우화 과정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된 아주대 연구팀의 전자 장치알약에 압축 보관했다가 펴도 문제 없이 사용 가능한 터치패널* 위 사진 설명 - 아주대 기계공학과 연구팀. 왼쪽부터 한승용 교수, 강대식 교수, 고제성 교수, 노연욱 박사, 이승곤 석사졸업생# 관련 기사 보기 - 한국경제(12.7.) "나비 날개서 힌트, 구겼다 펴도 멀쩡한 터치패널 개발했죠" - YTN(12.16.) "구기거나 접어도 순식간에 주름이 '쫙'...차세대 터치패널 개발" - [과학의 달인] 구겼다가 펼쳐도 주름 없는 유연한 전자 장치 개발!
-
3259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3-12-08
- 2798
- 동영상동영상
-
우리 학교 김상욱 교수팀이 단파 적외선 영역에서 광학 성능을 나타내는 새로운 친환경 양자점을 제조하고, 광검출 소자에 이를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 이에 기존의 소재를 대체하여 자율주행이나 무인 이동체 등 산업·군사·천문 관측용 탐지 장치에 활용 가능한 원천소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상욱 교수(응용화학생명공학과·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 연구팀은 InSb 양자점을 염소 이온 표면 처리해 광학 성능을 극대화하고, 이를 소자에 적용하기 위해 무기 리간드 치환 기술과 접목, 높은 성능의 포토다이오드 타입 광검출기 제작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관련 논문은 ‘표면 산화를 억제한 1500nm SWIR 광검출기용 콜로이드 InSb 양자점(Colloidal InSb quantum dots for 1500 nm SWIR photodetector with antioxidation of surface)’이라는 제목으로 재료공학 분야의 저명 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 12월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에는 김종현 아주대 교수(응용화학생명공학과·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와 이행근 한국화학연구원 박사가 함께 참여했다. 단파 적외선은 근적외선 영역보다 긴 파장대의 범위로 파장이 길어 투과성이 좋으며, 특히 가시광·근적외선 영역보다 태양광이나 수분에 의한 간섭이 매우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단파 적외선은 자율주행이나 무인 이동체 등에서 주변 환경을 인식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흐리고 안개 낀 날이나 어두운 밤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단파 적외선의 효율적 감응을 위한 소자의 성능과 가격 등의 측면에서는 한계를 보여 왔다. 기존 단파 적외선 감응 소자의 경우 규소(Si)나 인듐 갈륨 비소(InGaAs)를 기반으로 하나, 이 경우 1100nm 이상의 긴 파장 영역 대에서는 감도가 크게 떨어진다. 두 종류 이상 물질의 주기적 층을 쌓은 초격자 반도체의 경우, 제작 단가가 매우 비싸고 상온에서의 감지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상대적으로 저비용이며 비냉각형 소재인 양자점(Quantum Dot)이 하나의 해결 방안으로서 학계 및 산업계의 관심을 받아왔다. 양자점은 2023 노벨화학상의 영광을 차지한 반도체 나노입자 소재로, 수 나노미터(nm) 크기의 물질이 형태나 조성에 따라 가시광에서 적외선 영역까지 파장 조절이 매우 용이하여 다양한 광소자로 연구되고 있다. 특히 황화납(PbS)이나 황화셀레늄(PbSe), 텔루르화 수은(HgTe) 같은 양자점 기반 소재를 이용한 단파 적외선 감응 소자들이 학계에서 최근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이런 양자점의 경우 납과 수은 같은 유독성 중금속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산업계에서 널리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이에 아주대 공동 연구팀은 납(Pb)이나 수은(Hg)을 사용하지 않는 InSb 양자점을 주목했다. InSb 양자점은 유해 중금속을 사용하지 않는 양자점으로 알려져 있으나, 표면 산화에 매우 취약해 그 성능을 나타내기가 매우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연구팀은 합성 단계에서 염소 이온을 첨가해 양자점 표면 산화를 최대한 억제, InSb 양자점의 광학 성능을 극대화하고, 무기리간드 치환 기술을 접목해 안정적으로 소자에 적용 가능한 형태로 가공했다. 연구팀은 이렇게 만든 고밀도의 양자점 필름을 ITO 기판에 코팅해 포토다이오드 타입의 광 검출 소자에 적용했다. 그 결과 상온의 1370nm와 1520nm 영역에서 각각 11.2%, 6.3%의 외부 양자효율을 달성, 별도의 냉각 장치 없이도 높은 성능이 나타남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더불어 합성된 InSb 양자점의 단파 적외선 흡광 성능뿐 아니라 발광 또한 확인, 이를 통해 새로운 광원으로서의 가능성 또한 발견했다. 단파 적외선 발광의 경우 가시광이나 근적외선보다 인체 조직에서의 투과성이 매우 높기에 바이오 이미징에서 더욱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며, 수분이나 햇빛 등 외부 환경에 의한 간섭이 적어 사물인터넷(IoT) 분야 등에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김상욱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InSb 양자점 제조기술은 납과 수은 같은 유독성 중금속을 활용하지 않은 친환경 기술로, 가격 경쟁력과 효율도 높아 단파 적외선 감응에 사용할 수 있는 산업계의 가장 현실적 대안”이라며 “앞으로 지속적인 추가 연구를 통해 자율주행 등 미래 기술에 응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KIURI 및 기초연구사업 등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고, 국내 특허 출원이 완료됐다. * 위 그림 설명 a) 염소 이온에 의하여 양자점의 표면을 보호해 산화를 방지 b) 양자점 성장 온도에 따라 흡광 영역 조절 가능 c) 상기 양자점 소재를 이용한 광검출기의 모식도와 외부 양자효율 스펙트럼(주황색 : 1370nm, 적색 : 1520nm)
-
3257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3-12-07
- 2503
- 동영상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