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학교가 정부가 지원하는 2015년 에너지인력양성사업 연구개발고급인력지원 부분에 선정돼 매년 4억원의 정부지원금을 최대 5년(2년 후 조건부 3년 연장)까지 지원받게 됐다. 에너지인력양성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에너지와 R&D 전문인력의 저변을 확대, 양성하기 위해 ▲ 미래기초인력역량개발 ▲ 연구개발고급인력지원 ▲ 국제인력교류활성화 등 총 3개의 프로그램으로 구분해 시행하는 사업으로 올해 예산규모만 총 83억원이다. 우리학교는 ‘가스화 및 화학적 전환기술을 중점으로 한 차세대 청정연료’를 프로그램 수행의 과제로 삼고 대학원 에너지시스템학과 내에 트랙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 트랙은 에너지시스템학과와 기계공학과 대학원생이 주요 대상이 될 전망이다. 우리학교는 이번 사업을 위해 산합협력단을 중심으로 15개의 공기업과 중소기업, 2개의 연구소가 연합한 사업단을 이룬다. 우리학교에는 화학공학, 에너지공학, 화학, 기계공학, 경제학, 물리학, 교육공학을 전공한 교수 17명이 연구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차세대 청정연료기술과 관련된 100여명의 석⦁박사인력을 배출할 계획이다. [참여기업]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서부발전(주), 한국중부발전(주), 한국동서발전(주), 한국남부발전(주), 아주NBC(주), 컴버스텍(주), 나노팩(주), 아텍에너지(주), 삼호환경기술(주), 씨이에스(주), 두리에프에스(주), 에스에프씨(주), (주)이지로보틱스, (주)태린 [연구소] 고등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1206
- 작성자정우준
- 작성일2015-05-06
- 16705
- 동영상동영상
-
-
1204
- 작성자정우준
- 작성일2015-05-04
- 16770
- 동영상동영상
-
-
1202
- 작성자정우준
- 작성일2015-05-04
- 17298
- 동영상동영상
-
-
1200
- 작성자정우준
- 작성일2015-05-04
- 15919
- 동영상동영상
-
-
1198
- 작성자정우준
- 작성일2015-05-04
- 16456
- 동영상동영상
-
-
1196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15-04-29
- 15585
- 동영상동영상
-
염동일 교수(물리학과·대학원 에너지시스템학과, 사진)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전기적 제어가 가능한 그래핀-광섬유 소자를 개발해냈다. 그래핀은 탄소원자가 벌집 모양으로 결합된 단일 원자층으로 높은 전도성과 투명성 그리고 유연성까지 갖추고 있어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등 차세대 전기소자, 광전소자 그리고 광학소자를 만들 수 있는 ‘꿈의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단일층 그래핀의 경우 빛 흡수율이 2.3%정도 밖에 되지 않아 고효율의 광반응 성능을 가진 광소자 및 광전소자를 만드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염동일 교수 연구팀은 기술적 한계로 결합이 어렵던 그래핀 전계효과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FET)와 광섬유를 결합하여 세계 최초로 그래핀-광섬유 광전소자를 개발했다. 또한 이 광전소자를 통해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극초단 광섬유 레이저를 만드는데도 성공했다. 전계효과트랜지스터는 반도체 내의 전기전도과정에 한 극성(polarity)의 전자만 관여하는 반도체소자 또는 단극성 트랜지스터라고 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광전소자는 빛이 광섬유를 따라 진행하면서 발생하는 감쇄파(에바네센트파, evanescent wave)와 그래핀이 상호작용하면서 빛의 흡수율을 최대 90%까지 조절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고효율의 소자다. 염동일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그래핀-광섬유 광전소자는 최근 산업용 정밀 레이저 가공이나 레이저무기 등을 구현하는데 쓰이는 광섬유 레이저에 직접 응용이 가능하다. 향후 고효율의 그래핀 기반의 광전자소자나 광학소자를 구현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전기적 신호로 능동 조절 가능한 전광섬유(All-fiber) 그래핀 소자 (Active control of all-fibre graphene devices with electrical gating)”의 제목으로 세계적 수준의 과학저널인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 최근 5년간 IF=11.023) 2015년 4월호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우리학교 이은정(석사졸업), 최선영(박사후 과정) 및 정환성(석박통합과정) 등이 제 1저자로 참여하였고, 이상민(공동교신), 박지용, 안영환, 안광준 교수 등과 협동연구를 통하여 이루어 졌으며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기초연구사업 지원으로 수행됐다.
-
1194
- 작성자정우준
- 작성일2015-04-29
- 17892
- 동영상동영상
-
-
1192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15-04-29
- 16388
- 동영상동영상
-
-
1190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15-04-27
- 16971
- 동영상동영상
-
-
1188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15-04-24
- 16723
- 동영상동영상
-
-
1186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15-04-24
- 15451
- 동영상동영상
-
-
1184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15-04-23
- 17076
- 동영상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