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 소개

양자정보 에너지과학

영상표시용 나노소재소자 연구실
양자물질 계산이론 연구실

본 연구실에서는 강한 양자적 특성을 보이는 물질들을 계산 이론적으로 탐색하고 연구한다.

특별히 반도체 기반의 양자정보처리, 고전적인 한계를 뛰어넘는 양자 센서, 고효율 신재생 에너지 물질, 차세대 전자 소자 등에 활용 가능한 재료 플랫폼을 이론적으로 고안하고 그 미시적 성질을 예측하는 작업들을 수행하고 있다.

나노광전소자 실험실
광섬유 레이저 광소자 연구실

염동일 교수 연구실은 첨단 광섬유 레이저 및 이와 관련된 비선형 광소자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그래핀 및 이차원 반도체 물질을 기반으로 하는 소자 및 레이저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국방 분야 및 레이저 산업분야 응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기능성 나노전자 물질/소자 연구실
복합산화물 물리 연구실

우리 연구실은 에피택시를 통한 복합산화물 박막 이종구조의 형성, 분석 및 응용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분야를 연구합니다. 특히 전자의 강한 상관관계를 활용하여 새롭고 독특한 물리현상을 유도해내며, 이를 위해 다양한 이종 계면 구조를 디자인/구현하는데 집중합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새로운 물리현상을 이용하여 뉴로모픽 소자 및 차세대 메모리, 센싱 소자, 에너지 소자 등 일렉트로닉스 분야에 활용하는 연구를 병행합니다.

에너지화학

전기화학 소재 및 시스템 설계 연구실

전기화학 소재 및 설계 연구실에서는 전기화학을 기반으로 (1) 에너지 밀도, 친환경 특성,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세대 이차전지 시스템 연구 (2) 수소 에너지 산업의 핵심 시스템인 수소연료전지 및 수전해 용 촉매 소재 연구 (3) 에너지 자원 고갈 문제 해결을 위한 전지 소재 개발 및 시스템 재활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다양한 전극 및 전해질 소재 그리고 전지 시스템 개발 연구를 수행 중이며 이를 토대로 새로운 연구 분야로의 확장을 꾀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촉매 표면 화학 연구실

불균일계 촉매 계면에서 일어나는 촉매반응은 광촉매, 연료전지촉매, Haber-Bosch 촉매, Fischer-Tropsch 촉매, NOx 촉매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는 고체촉매 표면에서 일어나는 핵심이 되는 화학반응이다. 궁극적으로는 촉매표면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잘 이해하면 우수한 특성을 갖는 고체 촉매를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도 있고, 새로운 과학기술 분야을 창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실에서는 새로운 촉매 물질을 합성하고, 물질 표면의 특징적인 전자 구조 또는 원자 구조를 연구하고, 다양한 반응 조건에서 어떤 촉매 반응성을 연구한다. 또한, 이와 같은 연구 내용들을 바탕으로 최근 직면하고 있는 환경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과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로, 친환경 오염 물질 제거나 미래 에너지 수소 생산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분자표지자 및 생체영상 연구실
고체화학 실험실
그린촉매 연구실

그린촉매 연구실은 친환경 원천 촉매 개발을 수행해 왔습니다. 주로 최근 기후변화와 관련되어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는 CO2 농도 감축을 위한 CO2 전환 촉매 기술 개발, 추가 CO2 배출 감소에 중요한 화석연료를 대체할 자원인 biomass의 화학적 전환을 위한 유기, 유기금속 촉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본 실험실에서 대학원생들은 다양한 유기화학 및 유기금속화학이 필요한 첨단 연구에 참여합니다.

에너지화학공학

반응설계 연구실

본 연구실에서는 에너지 및 환경 분야에 활용되는 불균일계 촉매 및 반응기를 설계한다.
제일원리 계산, 기계학습, 유동해석을 포함하는 이론적 접근뿐만 아니라, 촉매 합성 및 반응실험을 통해 효과적인 촉매 및 반응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미세공정 연구실
기능성 유기소자 연구실
플라즈마공정응용 연구실
공정시스템공학 연구실

연구목표: 다양한 화학 및 생물 반응/공정에 대한 수학적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반응의 지배현상에 대한 근원적 이해를 도모하고 최적의 운전조건을 결정한다.

주요 연구분야는 다음과 같다.

  1. 키네틱 개발, 반응기 모델링, 분석 및 최적화

    • 촉매 반응 메커니즘 개발
    • 변수 추정을 통한 반응 키네틱 정량화
    • 반응기 모델링 및 해석(랩, 파일럿 수준 및 마이크로 반응기)
    • 공정 모델링 및 최적화
  2. 대규모 프로세스 모델링

    • 메탄올 합성 공정(혼합 개질 및 메탄올 합성)
    • 멤브레인 기반 연소전 이산화탄소 포집
    • 건식 CCS 공정을 위한 유동층 반응기 모델링
    • 지역 난방 네트워크의 열공정 모델링 및 모델예측제어
  3. 전산유체역학 모델 개발

    • 피셔-트롭쉬 합성용 마이크로 반응기
    • 수소 분리용 분리막 모듈
    • 발열 및 흡열 반응 커플링을 통한 열거동 제어
    • 호모 믹서 시스템 기반 Ag분말 반응기 유체 역학적 거동
  4. 고분자 중합 반응

    • MMA/MA 용액 공중합 반응 키네틱
    • 유화중합 반응 키네틱
    • LDPE, EVA 생산용 고압반응기(autoclave) 모델링
  5. 시스템 생물학

    • 대사회로 분석(metabolic flux analysis)
    • 신호전달 경로(signal transduction pathways) 모델링
청정화학공정 실험실
소재공정 연구실

소재공정연구실은 화학공정, 전기화학시스템에 대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연구하고 있다. 현재 연구실의 주요 연구분야는 이차전지의 성능 예측 모델링이다. 지난 20년 동안, 리튬이온전지, 납축전지, 흐름전지 등 다양한 종류의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최근 연구는 하이브리드전기차(HEV)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전기차(PHEV)용 리튬이온전지에 초점을 맞추어서 진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소재공정연구실에서는 모델링을 기반으로 안전성, 제한된 수명, 저온에서의 성능 저하 등 리튬이온전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자연모사 나노구조재료 연구실

자연모사연성소재 연구실은 자연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나노구조 및 반응기작을 응용하여 에너지 및 광학, 기능성 표면소재 분야 등에 적용가능한 고분자 소재를 만드는 연구실이다. 이를 위해 고분자 나노입자의 합성 및 나노입자의 자기조립 구조체, 자극감응형 하이드로젤 소재기반 스마트 표면구조제어 기술개발 등을 진행하고 있다.

에너지재료공학

저차원재료 성장 연구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저차원 재료 (0, 1, 2차원 나노재료)의 성장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제어하여 다양한 광전소자 및 에너지 촉매소자에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광전자 연구실

본 연구실은 재료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재료 (특히, 금속 산화물 및 무기 반도체) 의 나노 구조화 및 이의 전자적 특성의 개선을 연구하며 각 기능성 소자에 대한 소재 특성을 개발하고 이를 소자로 연결하는 소자 응용연구를 또한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종 소자 화 연구는 센서 (화학/광학센서), 반도체 집적회로소자 (차세대 메모리/로직소자/디스플레이소자/뉴로모픽소자), 에너지 소자 (광촉매/PEC/슈퍼커패시터/메탄수소전환기술)로 세부 팀별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첨단구조재료 연구실
나노재료 연구실
나노 에너지&촉매 재료 연구실

NECR 연구실에서는 저렴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새로운 나노소재 제조와 이들을 고효율 에너지/촉매 소자에 적용하는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 연구실은 저가격, 고효율 태양에너지 변환/저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우리 연구실은 복합 나노소재 시스템 개발을 통해 (1) 인공광합성(태양광-수소, 이산화탄소 재활용), (2) 광촉매 (오염물질/미세먼지 제거/분해), (3) 전기촉매(수소, 암모니아, 에틸렌 생산 등 이산화탄소-고부가가치화), (4) 태양전지, (5) 태양광-해수/담수화 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재료공학, 화학, 물리, 광전자공학, 촉매뿐만 아니라 전기화학에 기반을 둔 다양한 기술들을 적용/연구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에너지 모형 연구실
나노픽스 연구실

우리 연구실은 에너지, 환경 문제와 관련되어 해결이 시급한 사회적 이슈로 관심 받는 수소 에너지, 이산화탄소 재자원화, 미세먼지 등과 관련된 기초과학 및 나노기술을 연구 개발합니다.

주요 연구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금속, 금속산화물, 퀀텀닷 나노소재 합성 및 특성 분석
  • 빛-물질 상호작용 원리 이해 및 응용
  • 2차 미세먼지 생성물 제거 또는 실내공기 정화를 위한 광촉매 소재/공정 개발 및 반응 화학
  • 친환경 연료 생산과 에너지 전환 저장을 위한 촉매 소재/공정 개발 및 반응 화학
    (예 : 이산화탄소/질소/메탄 전환 및 활용, 물/암모니아 분해 수소 생산 기술 개발 등)
전력시스템 연구실

전력시스템 연구실(PSL)에서는 전력시스템 분석 및 신재생 에너지 계통 해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연구분야는
1) 신재생에너지원을 이용한 분산전원(DER)의 효율적인 운용 및 제어;
2) 저장장치(ESS)의 효율적인 운용 및 제어;
3) 신재생에너지가 배전망 또는 송전망에 미치는 영향 분석;
4) 경제성 분석 도구를 이용한 효율적인 마이크로그리드 설계;
5) 신재생에너지원의 발전량 예측;
6) 스마트그리드;
7) 전력시스템 IT;
8) 전력시스템 Resiliency
입니다.

에너지환경공학

환경기능성소재 및 수처리 연구실

환경기능성소재 및 수처리 연구실에서는 수환경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환경적으로 안전한 수준까지 제거하기 위한 수처리 공정 및 환경 소재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관심분야는 나노기술의 수처리 응용, 호소 인 제거 및 조류 제어, 하ㆍ폐수 처리 및 무기 자원회수를 포함합니다.

연구분야:

  1. 기능성 소재를 이용한 수처리 기술 개발 (Water Treatment using Functional Materials)
  2. 나노물질의 환경 적용 기술 개발 (Environmental Application of Nanomaterials)
  3. 폐수 처리 및 자원 회수 기술 개발 (Wastewater Treatment and Resource Recovery)
  4. 수중 인산염 및 조류 관리 기술 개발 (Phosphate and Algae Control in Waterbody)
환경 생명공학 연구실

아주대학교 환경공학과 환경 바이오 에너지 연구실 (Biomaterials and Bioenergy Lab.)은 2014년 3월에 신설되어 환경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Biomass에서부터 대사공학 및 미생물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Next Generation Bioenergy를 생산하고 있으며, 또한 Polyurethane을 비롯한 다양한 고분자 화합물을 친환경 소재인 Biomass로부터 생물학적, 화학적 촉매 및 공정을 통하여 합성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장기적인 연구 방향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미생물 및 효소를 이용하여 친환경 에너지 및 소재 (정말화학 물질, 고분자 물질 등)의 합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화학적, 생물학적 연구, 바이오 에너지 및 소재에 관심이 있는 학부 인턴 및 대학원 진학을 희망하는 열정 있는 학생들은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연구분야:

  1. 바이오 에너지: 기본적인 바이오 에너지는 미생물 공학을 기본으로 하여 환경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바이오 매스로부터 미생물 대사 공학 기술을 통해 친환경 바이오 연료를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 유전자 클로닝 기술, 세포 배양 기술, 분석 기술 등 다양한 기초 분자 생물학 기술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3. 바이오 소재: 현재 산업에 널리 사용되는 고분자 화합물을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 개발을 진행중입니다. 화학적 합성 및 생전환 기술을 통하여 새로운 구조를 갖는 신규 화학 소재를 개발하고 기존의 소재의 물성을 개량하는 것을 연구 목표로 합니다. 화학 합성, 생변환 기술, 분석 기술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